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64

복소수 성질 1. 복소수 z에 대하여 z²이 실수이면 z은 실수 또는 순허수 2. 복소수 z에 대하여 z²이 음의 실수이면 z은 순허수 (z=a+bi, a=0, b≠0) 3. 중간기출문제 2024. 4. 22.
사관학교 생도 모집 (2025학년도) 육해공군-국군간호사관학교 전형 2025학년도 육해공군 및 국군간호사관학교 1차 시험이 7월 27일 실시된다. 이들 사관학교는 특수대학으로 분류되어 지원이나 합격 여부와 상관없이 일반대학의 수시모집과 정시모집에도 지원 가능하다. 이러한 이유로 경쟁률이 20대 1 이상으로 높은 편이다. 올해는 1차 시험 날짜가 경찰대학 시험날짜인 8월 3일과 중복되지 않아 경쟁률이 더 올라갈 것으로 예상된다. 사관학교는 국어, 수학, 영어 필기시험인 1차 시험이 매우 중요하다. 1차 시험 등수가 일정배수 안에 들어야 2차 시험인 면접, 체력검정, 신체검사를 치를 수 있다. 사관학교의 1차 시험은 공통문제다. 시험 범위나 문제 유형이 대학수학능력시험과 유사하지만 차이도 있어 연습이 필요하다. 국어, 수학, 영어 모두 30문항.. 2024. 4. 18.
소수의 유래 수학은 인류의 역사와 함께 시작된 양, 구조, 공간, 변화 등의 개념을 다루는 학문이다. 기원전 600년경 탈레스를 비롯한 고대 그리스의 철학자들은 숫자 세기, 계산, 측정, 물리적 현상 등을 추상화하고 이에 논리적 추론을 적용하는 등의 방법으로 수학의 기틀을 마련하였다. 가령 물건을 하나씩 헤아리는 것은 자연수라는 개념으로 발전하였다. 1. 무한히 많은 소수 고대 그리스에서부터 이어진 자연수에 대한 관심은 곧 수학의 발전으로 이어졌다. 특히 1과 자신으로 밖에 나누어지지 않는 1보다 큰 자연수인 소수에 대한 관심이 매우 높아서 소수는 초기의 수학부터 중요하게 다루어졌다. 중학교 수학 교과 과정에 나오는 소인수분해, 최대공약수, 최소공배수 등은 모두 개념을 기본으로 하고 있다. 많은 소수의 성질이 일찍부.. 2024. 4. 17.
방정식의 유래 1. 동양 수학에서의 방정식 방정식은 식에 있는 특정한 문자의 값에 따라 참, 거짓이 결정되는 등식이다. 중국이나 다른 한자어권에서는 방정이라고 불렸는데 이는 고대 중국에서 일차 연립방정식을 네모난 모양으로 상수들을 써 놓고 풀었기 때문이다. 현재도 일차 연립방정식을 같은 방법으로 행렬을 이용해서 푼다. 거의 대부분의 문명에서 다항방정식의 개념이 있었고 각자의 방법으로 발전하였다. 실제 동아시아의 다항방정식을 푸는 기술은 매우 앞서 있었는데, 3세기경 중국의 유휘(B.C260경)가 지은 「구장산술」에서 이미 삼차 다항방정식의 풀이가 나오는 등, 고대부터 제곱근이나 세제곱근을 구하는 방법을 확립한 바 있다. 한국에서도 중국의 영향을 받아 방정식의 개념이 발전하였다. 조선시대 세종 때에는 십차 다항방정식까지.. 2024. 4. 16.